내 이야기

웹툰이나 드라마나 영화 스토리 짜기

투광등 2017. 11. 7. 19:53
반응형
SMALL

1. 지향하는 가치(목표)는 무엇인가. 메시지를 담아라.

이야기의 주제....  웹툰이나 드라마, 영화를 통해 전하고 싶은 것. 하나다. 처음부터 끝까지 이 목표(비전)가 무엇인가로 일관성을 유지한다. 주인공은 바로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초지일관 달려간다. 클라이막스는 이 목표를 달성하느냐, 못하느냐를 결정짓는 최고의 충돌 지점이다. 클라이막스는 통쾌하고 시원한가? 그게 반대일지 언정 클라이막스는 존재한다. 감동인지, 슬픔인지, 안타까움인지 그것은 여기서 결판난다.

2.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과 STP 전략 수립

인간의 가치? 정의, , 사랑, 가족애, 실연, 정복, 전쟁, 고기잡이, 등산, 수영, 배신, 사기, 성공, 실패, 권력 다툼 등등

3. 주인공 설정

동물, 식물, 어린이, 청소년, 여자, 남자, 노인, 중년, 청년, 어부, 산악인, 병사 등, 주인공은 스스로의 가치관(국가, 사회의 정의 실현, 조직 발전과 확대, 사업 확대 등)을 어떤 외부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실현한다. 어떤 시련에도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목표 달성에 집착한다. 주인공은 무엇을 위해, 누구를 위해, 무엇(언행)을 하나. 그 목표가 쟁취(라이벌 관계)인지, 사랑(연인)인지, 성공(비즈니스)인지를 정한다. 2개의 목표가 아니라 하나의 목표로도 충분하다. 만일 형사라면 어떤 사고에 대해 사건 현장을 조사하고, 범인을 추적하여 클라이막스에서 진범을 잡는 것이 그의 목표가 될 것이다.

4. 환경 설정

시대적 배경, 문화적 배경, 도덕적 배경, 정치경제적 배경, 지역, , , 교회 등 주변 환경을 장치한다. 이 환경은 주인공의 성장 배경과 이야기 구성을 실감 있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환경 설정이 이뤄지고 나면 주인공을 중심으로 대립구도를 형성한다.

5. 주인공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는 것들

친구, 스승, 종교인, 부모, 연인, 배우자, 자녀, 직장동료, 형사, 군인, 죄수, 경찰, 휴대폰, 태블릿, AI, 고양이 등

6. 주인공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것들

친구, 스승, 종교인, 부모, 연인, 배우자, 자녀, 직장동료, 적군, 사기꾼, 형사, 휴대폰, 태블릿, AI, 멧돼지 등

7. 감동을 주는 스토리텔링(눈물..)

작가는 작품의 메시지를 시청자들에게 전달하고, 시청자들이 공감하여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작가의 가치관이 작품에 녹여 들어갈 수 있으며, 작가의 상상력과 윤리관은 작품과 불가분의 관계가 될 수 있다. 작가의 감성이 시청자의 감성을 자극할지 여부는 작가 스스로 감동 없이 이뤄지지 힘들다. 작가는 사회적 책임도 있다. 물론 작가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을 드라마에 새기지 않는다.

8. 상상력을 현실감있게 풀어라

주인공 설정, 환경 설정, 주인공과 환경의 연결고리 구축으로 사건의 전개를 위한 기초 작업이 완성됐다. 이제부터 주인공의 이야기를 전개하면 된다. 상상력을 현실감 있게 표현한다.

9. 실패 속에서도 성장하는 주인공의 모습을 그려라

사건의 전개, 주인공이 이야기의 여정을 시작한다. 주인공은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의 목표를 위해 억압을 피하든지, 극복하면서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매진한다. 이 때 주인공을 괴롭히는 장치물이 등장한다. 악역들, 방해물들.. 그리고 지원자들, 유익한 것들도..

주인공의 목표 달성은 실패로 끝나고, 2차 시도를 한다. 또 실패한다. 3, 4차까지 매번 실패다. 그런데 매 시도 때마다 어떤 계기와 단초가 있어야 한다. 가끔 드라마에서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 등장하는데, 이야기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일이다.

10. 클라이막스에  모든 에너지를 집중하라.

클라이막스를 피할 수 없다. 주인공은 이 클라이막스를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목표 달성에 올인한다. 상대가 악의 무리라면 악을 물리칠 것이며, 비즈니스라면 경쟁사를 따돌리고 성공의 열쇠를 쟁취할 것이다. 그 목표가 사랑이라면 마침내 사랑을 얻게 한다. 영화나 드라마라면 음악, 연출도 호응해야 한다.

11. 클라이막스에 또 클라이막스를 만들어라. 

클라이막스에서 최고의 클라이막스는 어떤 장면으로 할 것인가. 맹룡과강에서 이소룡이 힘겹게 상대를 이기는 장면, 마지막 주먹을 날리는 장면, 이 주먹을 맞고 넘어지는 상대,, 슬로모션.. 음악 등으로 할 것인가. 그렇다면 이 영화의 주제는 무협인가. 정의가 이긴다. 이소룡의 신격화? 등등 

12. 그렇다면,.. 

이 클라이막스에 대응하는 첫장면은 무엇으로 할 것인가. 무협 영화여서, 이소룡이 악당 패거리들과 싸우는 장면으로 할 것인가. 중요한 것은 첫 장면에서 클라이막스(영화의 주제가 최고조로 농축된 지점)를 암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첫장면과 클라이막스는 결국 하나다. 작품은 시작과 끝이 관통하는 것이다.

주인공이 초지일관 추구하는 목표는 하나다.

작가가 독자(시청자든, 관람객이든)를 감동시키려면, 자신부터 감동받는지 시험해보면 안다. 작가는 첫독자다. 작가는 첫시청자다. 작가는 첫관람객이다. 작가가 감동하지 않으면 독자도 감동하지 않는다.

반응형
LIST

'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 4일째  (0) 2017.11.17
나를 스토리텔링하라  (0) 2017.11.14
담배, 아까운가?  (0) 2017.09.11
이빨 때우다  (0) 2017.09.06
이빨 깨져.. 관리 안되나  (0) 2017.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