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수교 15주년 기념 2007 슈퍼 차이나 페스티벌'이 지난 5월 4일부터 2만평 규모의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서 열리고 있다. 오는 10월 7일까지 약 5달 동안 열린다고 한다. 언론을 통해 잘 알려지지 않아 그냥 그렇고 그런 지방의 한 행사 정도로만 알고 있다가 얼마 전 지인의 권유로 이곳을 방문하게 되었다. 6월 16일(토) 오후 서울에서 출발했는데, 꽤 시간이 걸려 늦은 밤에 이곳에 도착했다.
슈퍼 차이나 행사의 출입구 중 한 곳 - 불빛이 휘황찬란하다.
지난해 경기도 구리에서 열린 고구려삼족오대축제 관계자분들이 일부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어느 정도는 규모있는 행사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행사장 입구에 들어서니 각종 빛을 발산하고 있는, 휘황찬란란 중국 전통양식의 건물과 각종 조형물들이 단순한 행사가 아님을 실감케했다.
관람객들의 눈길을 끄는 중국의 탈 조형물들
행사장 중앙에 위치한 '한빛탑'으로 향하면서 각종 전시물들이 대륙의 웅장함과 스케일을 느끼게 했다. 관람객들을 위해 특별히 만든 것으로 보이는 '3년내 부자 되는 길"은 그 아이디어가 기발한 것이었다.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관람객들을 흐뭇하게 만들어 주니 말이다. 특히 사기접시를 한개 한개 쌓고 묶어서 만든 용트림하는 용은 그야말로 환상적인 작품이었다. 그 속에는 장인의 숙련된 손놀림과 무한한 정성이 배여있는 듯했다.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한중수교 15주년 기념 슈퍼차이나 페스티벌(빛축제)
도착시간이 늦어 환상적이라는 '음악 분수쇼'는 보지 못했지만, 여기 저기 다양한 볼거리를 감상하는 것으로도 만족스러웠다. 마지막 공연인 중국 잡기단(우리의 '곡예단'을 중국은 '잡기단'이라 함)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었다. 남녀 부부의 공중 회전돌기와 어린이 잡기단의 공연은 볼만 했다. 물론 TV에서 본 북한의 곡예단이 하는 공중 그네 등 난이도가 아주 높은 내용은 없었다. 그러나 중국의 곡예 문화를 직접 볼 수 있었다는 것으로 만족할 만했다.
중국 곡예단의 곡예 모습
중국 곡예단의 공연을 보고난 후 이 곳에 입점해있는 삼족오상품관으로 이동했다. 고구려 드라마에 나오던 대형군막 안에 대형 삼족오 조형물과 상품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바로 옆에는 삼족오 포토존이 설치되어 있었다. 삼족오가 서울에서 대전으로 내려온 것이다. 더 나아가 한중수교 15주년 행사에 우리의 삼족오가 한국의 대표적인 상징물로 등장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은 것이다. 남녀 한쌍이 삼족오 상품점에 들러 삼족오 목걸이를 살펴보는 모습이 보였다.
슈퍼차이나 빛축제 행사의 삼족오 포토존
삼족오 상품관을 이 곳으로 옮겨온 (주)고구려벨트 정민수 대표를 만나보았다. 정 대표는 "이번에는 한중 행사에 삼족오가 참가했지만, 앞으로는 한중일 3개국의 삼족오를 한 자리에 모으고 싶다"고 말했다. 요원한 것 같지만, 언젠가 그런 날이 오지 말란 법은 없을 것이다. 이미 슈퍼차이나 행사에 삼족오가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일본만 참가시키면 되는 것이다. 문화행사에는 국경이 없다. 뜻이 맞으면 언제든지 한중일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을 것이다.
삼족오 상품관 내부의 삼족오 조형물과 상품전시대
한중 수교 15주년 기념 2007 슈퍼 차이나 페스티벌과 삼족오!
삼족오가 주 행사장인 한빛탑과 3년내 부자 되는 길 사이에 둥지를 틀고 있었다. 포토존에 어른 삼족오 1마리, 상품관 안에 새끼 삼족오 2마리 등 모두 3마리였다. 이제 날개를 펴고 바다 건너 중국 대륙을 향해서, 일본의 본토를 향해서 비상할 일만 남았다. 고구려의 역사는 삼족오와 함께 자손만대에 걸쳐 고구려의 웅혼한 기상을 후대의 가슴속으로 전해주고 있다. 거대한 스케일의 슈퍼 차이나 축제에서 대한민국의 전통과 역사를 나홀로 지켜내고 있는 삼족오, 그것은 우리가 보듬고 키워가야 할 대역사의 자랑이다.
'세상 이야기 > 캐릭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정크아트페스티벌 (0) | 2008.05.04 |
---|---|
특허심판원, 삼족오 상표권 인정 (0) | 2007.09.19 |
"캐릭터 저작권 관련 추가부담 검토해야" (0) | 2007.06.17 |
캐릭터 지적재산권 세미나 성황리에 개최 (0) | 2007.06.17 |
한국캐릭터협회, 캐릭터재산권 보호 세미나 개최 (0) | 2007.06.11 |